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처기 실기
- Ai
- 코딩테스트
- 데이터과학
- 백준
- ai 전문가 과정
- list
- dictionary
- 데이터분석
- 데이터
- 알고리즘
- AI학습
- numpy
- 클래스
- 정처기
- AI 윤리
- 자바
- 코딩
- 인공지능
- Java
- LG Aimers
- 파이썬
- KT
- Python
- 모각코
- AIVLE
- KT AIVLE
- git
- pandas
- github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6)
무향향수
[Day4] 상속, 인터페이스와 다른 형식의 클래스, 예외처리 Chapter 7-3 오버라이딩 목차 🏀 어노테이션(Annotation) 오버라이딩(Overriding) 이란? 오버라이딩의 조건 super 🏀 어노테이션(Annotation) 코드 문법 확인을 위해 컴파일러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 🏀 오버라이딩(Overriding) 조상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메서드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오버라이딩이라고 한다. class Fruit{ // 부모클래스 int count = 10; String name = "The name is"; public String fruitName(){ return "count : " + count + " and " + name; // count : 10 and The name is }..
[Day4] 상속, 인터페이스와 다른 형식의 클래스, 예외처리 Chapter 7-1 상속 목차 🎈 상속의 특징 🎈 상속의 특징 부모 클래스를 동시에 여러개 상속받을 수 없다. (Java는 다중상속을 지원하지 않는다.) 상속을 포함하여 다른 클래스의 메서드 및 필드를 사용하는 방법 1. 다른 클래스를 상속받아 main클래스의 객체를 이용하여 사용하기 2. 클래스를 상속받지 않고 main클래스에 다른 클래스의 객체를 이용하여 사용하기 3. 클래스를 상속받지 않고 main클래스에 다른 클래스.필드명 또는 메소드를 작성하여 사용하기 Car 클래스를 상속 받지 않고 main 클래스에 Car 객체를 생성하여 필드 및 메서드 사용하기 public class TestExtends{ public static void m..
[Day3] 클래스 다듬기 Chapter 6-5 final 목차 ✅ final이란? 생성자를 이용하여 final 멤버 변수 초기화 static final이란? ✅ final이란? final은 클래스, 메서드, 멤버변수, 지역변수에 사용될 수 있다. 제어자 대상 의미 final 클래스 변경될 수 없는 클래스, 확장될 수 없는 클래스가 된다. 그래서 final로 지정된 클래스는 다른 클래스의 조상이 될 수 없다. 메서드 변경될 수 없는 메서드, final로 지정된 메서드는 오버라이딩을 통해 재정의 될 수 없다. 멤버변수 변수 앞에 final이 붙으면,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상수가 된다. 지역변수 선언, 초기화되면 수정이 불가능하다. static final과는 다르게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진행하지 않아도 된..
[Day3] 클래스 다듬기 Chapter 6-4 인스턴스 멤버와 정적 멤버 목차 ❤️ 인스턴스와 인스턴스 멤버? 클래스 / 객체 / 인스턴스 정적 멤버? ❤️인스턴스 란? 클래스로부터 new연산자를 통해 만든 하나의 객체 실제 메모리 상에 구현한 것 ❤️인스턴스 멤버란? 인스턴스에 속한 멤버인 필드와 메소드 생성자는 인스턴스 멤버에 속하지 않는다. → 필드 : 객체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이다. int a = 23; // 필드 ❤️ 클래스 / 객체 / 인스턴스 1. 클래스 객체를 만들어내기 위한 설계도 2. 객체 클래스에 클래스 타입으로 구현된 모든 것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것(인스턴스 전체) 3. 인스턴스 클래스를 통해 구현해야할 대상(객체)이 구현된 구체적 실체 객체가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제로 사용될 때..
[Day1] Java시작하기, 변수와 계산, 제어문 Chapter 3-2 switch문 목차 ✋ switch문 정의 switch문 주의사항 ✋ switch문 정의 동일한 값을 여러 조건으로 확인할 때 유용하다. 괄호 안에 확인하려는 변수를 넣는다. case문에 입력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case문 블록을 실행한다. 해당하는 case가 없는 경우 default문을 실행한다. default문은 switch 블록 내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며 break문은 필요가 없다. switch문 테스트 해보기 - break문이 없을 때(해당하는 값 없음) int a = 10; switch(a){ case 0: System.out.println("0"); case 1: System.out.println("1"); ca..
[Day1] Java시작하기, 변수와 계산, 제어문 Chapter 2-6 기본 타입 변환 목차 🎵 데이터 타입별 크기, 값의 범위 Java 기본 타입 변환 두가지 설명 🎵 데이터 타입별 메모리 크기 (8bit = 1byte) 문자형 논리형 정수형 실수형 boolean(1byte) byte(1byte) char (2byte) short(2byte) int(4byte) float(4byte) long(8byte) double(8byte) 🎵 데이터 타입별 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 char 0 ~ 65,535 byte -128 ~ 127 short -32768 ~ 32767 int -2,147,483,648 ~ 2,147,483,647 long -9,223,372,036,854,775,808 ~ 9,22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