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andas
- 데이터분석
- git
- 클래스
- ai 전문가 과정
- dictionary
- AI학습
- AI 윤리
- Java
- 데이터
- KT AIVLE
- 인공지능
- 코딩
- github
- 코딩테스트
- list
- Python
- KT
- 모각코
- 정처기 실기
- 파이썬
- numpy
- 알고리즘
- 백준
- 데이터과학
- Ai
- 정처기
- 자바
- AIVLE
- LG Aimer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S (2)
무향향수

알고리즘에서 시간 복잡도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 횟수를 말한다.일반적으로 수행 시간은 1억번의 연산을 1초의 시간으로 간주어 예측한다. 빅-오메가: 최선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빅-세타: 보통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빅-오: 최악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코딩테스트에서는 빅-오 표기법을 기준으로 수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좋다. 연산 횟수 =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 데이터의 크기 1. 상수는 시간 복잡도 계산에서 제외한다.2. 가장 많이 중첩된 반복문의 수행 횟수가 시간 복잡도의 기준이 된다.
CS/알고리즘
2024. 8. 12. 17:35

알고리즘을 공부하기 전 생각해 보아야할 사항!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1. 학부생 때 알고리즘 과목 성적이 너무 낮아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 공부한다.2.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에 대응하기 위해서 공부한다.3. 부족한 CS 지식을 길러 머신러닝, 딥러닝 알고리즘에 도움을 얻기 위해 공부한다. Python 대신 Java로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1. Python은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딥러닝 등을 공부하며 자주 접할 수 있지만, Java의 경우 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접할 수 없어서 공부한다.2. 백엔드의 경우 Java Spring이 필수적인데 Python으로 데이터 분석만 공부하기 보다는 다양한 언어를 공부해두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공부한다. 3. 학부생 컴퓨터..
CS/알고리즘
2024. 8. 12. 1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