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ictionary
- 데이터분석
- list
- pandas
- LG Aimers
- 코딩
- AIVLE
- Java
- Python
- 알고리즘
- 클래스
- 파이썬
- ai 전문가 과정
- 모각코
- 정처기
- KT
- 자바
- github
- numpy
- KT AIVLE
- Ai
- 백준
- git
- 인공지능
- AI 윤리
- 정처기 실기
- 코딩테스트
- AI학습
- 데이터
- 데이터과학
- Today
- Total
무향향수
1주차 Python 프로그래밍 & 라이브러리 본문
Jupyter notebook 시작
User내에 있는 폴더로 들어간다.
cd P1
엔터를 입력하고 jupyter notebook을 실행한다.
jupyter notebook
또는 jupyter lab을 사용한다.
jupyter lab
=> 열고싶은 파일이 있거나, 실행하는 파일을 저장하고 싶은 폴더로 미리 이동한 후 jupyter lab을 실행하는 것이 좋다.
신기해~
새롭게 알게 된 부분
1. Jupyter Lab 단축키
셀을 선택하는 방법
Alt + Enter: 해당 셀 실행 후 아래 새 행 생성
Shift + Enter: 해당 셀 실행 후 아래 행으로 이동
z: 삭제된 셀을 다시 생성하기
y: 코드셀로 전환하기
<br> 을 입력하거나 Enter를 두 번 누르면 마크다운 셀(텍스트 셀) 줄바꿈을 할 수 있다.
Shift + L: 코드 줄에 숫자가 표시된다.
>: 왼쪽 바를 그려준다.
**내용**: bold체로 바꿔준다.
이미지를 입력하고 싶을 때 해당 이미지가 있는 사이트를 작성해준다.
Ctrl + /: 여러 줄을 주석처리 할 수 있다.
2. List, Dictionary, Tuple
문자에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으면 object나 변수명으로 인식되어 오류가 발생한다.
코드를 실행할 때 print()함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맨 마지막 명령문을 전에 다른 명령문들을 빠르게 출력하고 넘어가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 그래서 여러개 동시에 확인하고 싶을 때는 print()문을 써준다.
range()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만들 때, for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예)
list(range(1, 10, 2))
=> 여기서[1, 3, 5, 7, 9]가 list형식으로 저장된다.
리스트안에 리스트를 포함시킬 수 있다.
list_a = [1, 2, 3]
list_b = [a, 4, 5]
list_b = [1, 2, 3, 4, 5]가 된다.
리스트 값을 삭제하기 위해 del을 사용한다.
del list_a[3]
list_a의 4번째 값을 삭제한다.
또한 remove를 사용하여 특정 값을 찾아서 삭제할 수 있다.
list_a.remove(1)
1을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del vs remove()
del: 해당 순서의 값을 삭제한다.
remove: 해당 값을 삭제한다.
딕셔너리에도 리스트를 넣을 수 있다.
dict_a.keys() # 키 값만 조회
dict_a,values() # 값만 조회
dict_a.items() # 키와 값을 tuple로 조회
3. if
조건문을 작성 할 때
and: &
or: |
괄호는 작성해도 좋고, 안해도 괜찮다 => 그러나 복잡한 구조인 경우 괄호를 쓰는 것이 알아보기 쉽다.
4. for 반복문
import random
ran = random.randint(0, 100)
0 ~ 100 사이 랜덤 값 저장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for문을 list에 저장할 수 있다.
x = [n for n in range(1, 10) if n % 7 == 0]
함수 사용
def hello(name, loud = 1):
...
매개변수 이름 = 값으로 지정
매개변수 이름으로 지정하면 순서를 바꿔서 입력해도 된다.
입력 매개변수 이름 앞에 *을 붙이면
입력 값의 수를 정하지 않고 사용할 때 들어오는 대로 받는다.
def numbers(*nums)
print(nums)
값을 받고 싶지 않을 때는 _(언더바)를 사용한다.
두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받을 때 => tuple
하나의 값을 받을 때 => float
예)
def test(x, y):
return x, y
a = test(1, 2) # (1, 2)가 tuple 형태로 저장
a, _ = test(1, 2) # 각각 1, 2 값을 저장
a = test(1, 2)[1] # 2만 float형태로 저장
느낀점
파이썬 기초 수업에는 자신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착각하고 있거나 알지 못했던 부분이 많아서, 아무리 잘 알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도 다시 한 번 생각하고 복습하고 열심히 수업을 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만하지 않고, 이미 아는 내용이라도 다시 한 번 들으며 끊임 없이 복습하는 것의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kt aiv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처리 (1) | 2024.02.26 |
---|---|
Python 프로그래밍 & 라이브러리 2 (1) | 2024.02.23 |
데이터 조작 이해와 실무_데이터 변경 (0) | 2024.02.04 |
데이터 조작 이해와 실무_데이터 선택 (1) | 2024.02.04 |
데이터 사이언스 개요_분석 환경 준비하기 (1)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