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향향수

1주차 Python 프로그래밍 & 라이브러리 본문

kt aivle

1주차 Python 프로그래밍 & 라이브러리

튼튼한장 2024. 2. 22. 17:37

Jupyter notebook 시작

User내에 있는 폴더로 들어간다.

cd P1

 

엔터를 입력하고 jupyter notebook을 실행한다.

jupyter notebook

 

또는 jupyter lab을 사용한다.

jupyter lab

 

=> 열고싶은 파일이 있거나, 실행하는 파일을 저장하고 싶은 폴더로 미리 이동한 후 jupyter lab을 실행하는 것이 좋다.

신기해~

새롭게 알게 된 부분

1. Jupyter Lab 단축키

셀을 선택하는 방법

Alt + Enter: 해당 셀 실행 후 아래 새 행 생성

Shift + Enter: 해당 셀 실행 후 아래 행으로 이동

 

z: 삭제된 셀을 다시 생성하기

 

y: 코드셀로 전환하기

 

<br> 을 입력하거나 Enter를 두 번 누르면 마크다운 셀(텍스트 셀) 줄바꿈을 할 수 있다.

 

Shift + L: 코드 줄에 숫자가 표시된다.

 

>: 왼쪽 바를 그려준다.

 

**내용**: bold체로 바꿔준다.

 

이미지를 입력하고 싶을 때 해당 이미지가 있는 사이트를 작성해준다.

 

Ctrl + /: 여러 줄을 주석처리 할 수 있다.

 

 

2. List, Dictionary, Tuple

문자에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으면 object나 변수명으로 인식되어 오류가 발생한다.

 

코드를 실행할 때 print()함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맨 마지막 명령문을 전에 다른 명령문들을 빠르게 출력하고 넘어가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 그래서 여러개 동시에 확인하고 싶을 때는 print()문을 써준다.

 

range()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만들 때, for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예)

list(range(1, 10, 2))

 

=> 여기서[1, 3, 5, 7, 9]가 list형식으로 저장된다.

 

 

리스트안에 리스트를 포함시킬 수 있다.

list_a = [1, 2, 3]
list_b = [a, 4, 5]

list_b = [1, 2, 3, 4, 5]가 된다.

 

 

리스트 값을 삭제하기 위해 del을 사용한다.

del list_a[3]

list_a의 4번째 값을 삭제한다.

 

 

또한 remove를 사용하여 특정 값을 찾아서 삭제할 수 있다.

list_a.remove(1)

1을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del vs remove()

del: 해당 순서의 값을 삭제한다.

remove: 해당 값을 삭제한다.

 

딕셔너리에도 리스트를 넣을 수 있다.

 

dict_a.keys() # 키 값만 조회
dict_a,values() # 값만 조회
dict_a.items() # 키와 값을 tuple로 조회

 

 

 

3. if

조건문을 작성 할 때

and: &

or: |

 

괄호는 작성해도 좋고, 안해도 괜찮다 => 그러나 복잡한 구조인 경우 괄호를 쓰는 것이 알아보기 쉽다.

 

 

4. for 반복문

import random

ran = random.randint(0, 100)

0 ~ 100 사이 랜덤 값 저장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for문을 list에 저장할 수 있다.

x = [n for n in range(1, 10) if n % 7 == 0]

 

 

 

함수 사용

def hello(name, loud = 1):
	...

매개변수 이름 = 값으로 지정

매개변수 이름으로 지정하면 순서를 바꿔서 입력해도 된다.

 

 

입력 매개변수 이름 앞에 *을 붙이면 

입력 값의 수를 정하지 않고 사용할 때 들어오는 대로 받는다.

def numbers(*nums)
	print(nums)

 

 

값을 받고 싶지 않을 때는 _(언더바)를 사용한다.

두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받을 때 => tuple

하나의 값을 받을 때 => float

예)

def test(x, y):
	return x, y
   
   
a = test(1, 2) # (1, 2)가 tuple 형태로 저장
a, _ = test(1, 2) # 각각 1, 2 값을 저장
a = test(1, 2)[1] # 2만 float형태로 저장

 


더보기

느낀점

파이썬 기초 수업에는 자신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착각하고 있거나 알지 못했던 부분이 많아서, 아무리 잘 알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도 다시 한 번 생각하고 복습하고 열심히 수업을 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만하지 않고, 이미 아는 내용이라도 다시 한 번 들으며 끊임 없이 복습하는 것의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