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아카데미 (23)/JAVA
[Java] switch문
튼튼한장
2023. 7. 5. 16:16
[Day1] Java시작하기, 변수와 계산, 제어문
Chapter 3-2 switch문
목차 ✋
- switch문 정의
- switch문 주의사항
✋ switch문 정의
- 동일한 값을 여러 조건으로 확인할 때 유용하다.
- 괄호 안에 확인하려는 변수를 넣는다.
- case문에 입력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case문 블록을 실행한다.
- 해당하는 case가 없는 경우 default문을 실행한다.
- default문은 switch 블록 내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며 break문은 필요가 없다.
switch문 테스트 해보기
- break문이 없을 때(해당하는 값 없음)
int a = 10;
switch(a){
case 0:
System.out.println("0");
case 1:
System.out.println("1");
case 2:
System.out.println("2");
case 3:
System.out.println("3");
default:
System.out.println("default"); // default문 실행 및 출력
}
- break문이 있을 때(해당하는 값 없음)
int a = 10;
switch(a){
case 0:
System.out.println("0");
break;
case 1:
System.out.println("1");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2");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3");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default"); // default문 실행 및 출력
}
- break문이 없을 때(해당하는 값 있음)
int a = 10;
switch(a){
case 0:
System.out.println("0");
case 1:
System.out.println("1"); // 실행
case 2:
System.out.println("2"); // 실행
case 3:
System.out.println("3"); // 실행
default:
System.out.println("default"); // 실행
}
결과값:
1
2
3
default
- break문이 있을 때(해당하는 값 있음)
int a = 10;
switch(a){
case 0:
System.out.println("0");
break;
case 1:
System.out.println("1"); // 실행 및 break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2");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3");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default");
}
내용 정리
해당하는 값 O | 해당하는 값 X | |
break문 O | 해당 값만 출력 | default 출력 |
break문 X | 해당 값 & 뒤의 값 모두 출력 | default 출력 |
✋switch문 주의사항
- 만약 각 case에 break를 작성하지 않으면 해당하는 값을 찾은 후 값에 해당하지 않에도 뒤에 있는 모든 case를 실행하기 때문에 각 case에 필수적으로 break문을 작성해주어야 한다.
더보기
⭐내용 요약⭐
- switch문은 동일한 값을 여러 조건으로 확인할 때 유용하다.
- default문에는 break문을 쓰지 않아도 된다.
- ⚠️모든 case에 break문 작성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