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프로젝트/프로젝트 공부

깃허브 사용법 기초

튼튼한장 2024. 2. 5. 11:26

목차

1. github 가입하기

2. 새 repository 생성하기

3. git 다운받기

4. git bash 열기

<깃 환경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_name"

"your_name" 자리 ➡️ 사용자 이름 작성하기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

 

"your_email" 자리 ➡️ 사용자 이메일 작성하기 (깃허브 가입시 사용한 이메일과 동일)

 

git config --list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마지막 부분 ➡️ user.name과 user.email을 체크하기

 

 

 

5. terminal - new terminal 클릭

 

< terminal에 입력하기>

git init

git을 쓰기위해 초기화

맨 처음 프로젝트를 올릴 때 git init을 해야한다.

 

 

git add .

git add ➡️ git에 올릴 파일 확인하기

. ➡️ all을 의미한다. (모든 파일)

특정 파일만 업로드하고 싶은 경우 ➡️ git add 파일명

 

git status

git에서 자동으로 새 파일을 찾아준다. (상태를 알려준다)

 

git commit -m "first commit"

변경사항을 체크하고 history를 만어준다.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이름/레포지토리명

깃허브 사이트에 작성된 git remote를 복사하여 붙여넣기

작성된 레포지토리로 내 코드를 전송한다.

 

git remote -v

remote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내가 연결한 주소가 뜨면 된다.

 

git push origin master

코드를 보낸다

push ➡️ 보내기

 

위의 과정을 모두 완료하고 깃허브에 들어가면 업데이트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코드 변경 후 업데이트>

git add .

코드 추가를 위해 작성

init은 이미 앞 단계에서 하여 할 필요 없음

 

git commit -m "second commit"

history 작성하기

 

git push origin master

코드를 git hub로 보내기

 

위의 과정을 모두 완료하고 깃허브에 들어가면 수정사항이 업데이트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